모두의 공간

장벽으로부터 자유로워지다

문화예술 체험공간 ‘국립아시아문화전당’

글. 임채홍
자료 제공. 국립아시아문화전당

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차별 없는 문화 복지를 실천하고, 장애를 포함한 모든 장벽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위해 노력해왔다. 무장애 공연·전시, 수어 영상 서비스 등 다양한 문화적 체험을 즐겨보자.

  • 기본 인권, 문화향유

  • 장애인 문화향유는 단순히 문화적 권리를 보장하는 의미를 넘어서, 사회 전체의 포용성과 평등을 증진하는 중요한 요소다. 문화는 인간의 삶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. 문화는 사람들의 정체성을 형성하기도 하고 사회적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매개체 역할을 하기도 한다. 그러므로 당연히 장애인도 타인과 동일한 방식으로 문화적인 경험을 향유할 수 있어야 하며, 이는 전반적인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.
   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장애인 문화향유에 진심이다. 작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매달 ‘ACC 인문강좌’에 수어 통역을 제공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했다. 또한 청각장애인과 코다가족1 등 총 250여 명을 대상으로 전당 투어해설사와 수어통역사의 수어 해설이 함께하는 ACC 문화탐방 프로그램을 10회 진행했다. 이외에도 2024 ACC-국립현대미술관 교류협력전 MMCA 이건희컬렉션 <피카소 도예>, 2024 ACC 야외전시 <현장 속으로: 기억과 사건>, ACC 창·제작공연 <속삭임의 식탁>, 국립현대무용단 협력공연 <코레오 커넥션>, 아시테지 국제여름축제 초청공연
    <사랑에 빠진 뽀메로>, ACC 계절투어 <초록초록 ACC 산책> 등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모두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전시·공연·투어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.


    1. 코다(CODA, Child Of Deaf Adult): 부모 중 1명 또는 둘 다 청각장애인이거나 보호자가 청각장애인이며 그에 의해 양육된 자녀를 의미

  • 청각장애인이 만든 수어해설 영상

  • 지난 11월,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 전당을 즐길 수 있도록 아시아문화박물관 상설전시 수어해설 영상을 제작하고 서비스를 시작했다. 이번에 제작된 영상은 올해 개편한 아시아문화박물관 ‘몬순으로 열린 세계: 동남아시아의 항구도시’와 ‘전당 건립 아카이브 <빛의 숲(Forest of Light)>’ 상설전시의 수어해설이다. 각 전시실에 비치된 QR코드를 통해 개인 휴대전화로 누구나 쉽게 감상할 수 있다.
    ‘몬순으로 열린 세계: 동남아시아의 항구도시’에선 계절풍 ‘몬순’을 따라 전개되는 사람들의 교역과 문화교류, 항구도시를 오간 이들이 만들어낸 고유한 삶과 예술작품을 즐길 수 있다. 또한 이곳에선 2017년 11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네덜란드 델프트 헤리티지와 협약을 통해 기증받은 ‘누산타라 컬렉션’ 중 400여 점의 아시아 유물을 만나볼 수 있다.
    ‘전당 건립 아카이브 <빛의 숲(Forest of Light)>’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재미있는 건축 이야기와 전당 내 건물별 특징에 대하여 소개한다.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건립 취지와 철학이 궁금하다면 방문해 보는 걸 추천한다.
    수어 해설엔 청각장애인 수어해설사가 직접 영상에 나서며 해설 정확도를 높였다. 이는 (사)한국농아인협회와의 업무협약 일환으로 영상 제작부터 감수까지 모든 과정에 청각장애인이 참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.

    • 청각장애인을 위한 ACC 문화탐방 프로그램

      청각장애인을 위한 ACC 문화탐방 프로그램

    •  아시아문화박물관 상설전시 수어해설 영상 서비스

      아시아문화박물관 상설전시 수어해설 영상 서비스

  • 문화접근성 확대

  • 이 외에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▲시각장애인 ▲노년층 ▲자립준비청년 ▲신안군 낙도 어린이 가족 등 문화소외계층 초청 투어 프로그램을 확대해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편적 문화 복지 보장을 위해서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.
  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이강현 전당장은 “이번 아시아문화박물관 상설전시 수어해설 영상 서비스 제공을 통해 더 많은 청각장애인들이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즐길 수 있게 되길 바란다”라며 “앞으로도 모든 이들이 쉽게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방문할 수 있도록 문화접근성을 더욱 확대시키겠다”라고 전했다.

위치 아이콘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이용 안내

  • 주소 :
    광주 동구 문화전당로 38

    운영 시간 :
    화~일 10:00~18:00

    ※ 문화정보원, 문화창조원 매주 수, 토 10:00~20:00 연장 운영

    ※ 월요일 및 신정 휴관

    ※ 외부시설 운영시간: 06:00 ~ 22:00

    입장료 :
    ※ 무료입장: 문화창조원(전시), 예술극장(공연), 아시아문화박물관, 도서관, 유아놀이터
    ※ 유료입장: 일부 공연 및 어린이 체험관
    할인안내 :
    복지카드 소지자 50% 할인 (1인 2매까지)

    홈페이지 :
    국립아시아문화전당

    전화번호 :
    1899-5566

  • 이전 페이지 이동 버튼
  • 다음 페이지 이동 버튼
  • 최상단 이동 버튼